“나는 특별한 존재!”
“나는 특별한 존재!”
  • 제이 브라운
  • 승인 2007.08.24 2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사람들 미국 사람들 10 '자신감 혹은 나르시시즘'

이번 주에 제가 회의 사이에 잠깐 짬이 나서 인터넷을 둘러보다가, CNN.com에서 발표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우연히 보게 되었습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대학교 학생들 사이에 자만심이 커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저도 일터에서 분명히 매일 보는 현상이죠. 학생들이 점점 자기 자신에 대해서 사로잡히고 있습니다.

미국의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반복적으로 그들이 얼마나 특별한 존재인가를 주입받습니다. 미국의 교사들은 모든 아이들을 특별하고 독특한 개인으로 대접해 주어야 합니다. 만일 교사가 아이에게 머리가 안 좋다(아니 조금이라도 부정적인 말을 하면)라고 말한다면, 그 아이의 부모들은 아이의 자존심을 건드렸다고 그 학교를 당장 고소할 것입니다. 대학에서조차, 저는 학생들의 리포트를 교정할 때, 빨간색 펜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빨간색이 학생들을 기분 나쁘게 하고 그들로 하여금 자신이 가치가 없는 존재라고 느끼게 할까 봐, 저는 이제 보라색 펜을 사용합니다. 아마 좀 있으면 보라색도 기분 나쁘다고 할 걸요!

아이에게 그가 얼마나 특별한 존재인가를 말해 주는 게 좋은 것인 것처럼 여겨집니다. 하지만,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런 식으로 미국 아이들을 다룬 결과, 장기적으로 볼 때 아이들이 점점 더 자기중심적으로 되어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자기중심적이라는 것은 이기심과 아주 가깝죠. 실제로 이 연구진들은 자기중심성에서 더 나아가, 우리가 오로지 자기 자신만 아는 나르시시즘에 빠져있는 세대를 양육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나르시시즘은 결코 제가 달고 다니고 싶은 딱지는 아닌데 말이죠. 제 생각에는 제가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는 좋은 사람이거든요.(제가 지금 자만하고 있는 건가요?) 자기중심성은 직장이나 자녀를 키우는 데 있어서 뿐 아니라, 헌신을 꺼려하는 연인 관계를 만듭니다. (브리티니 스피어의 자녀 양육법을 보세요. 이 연구에서 이야기하는 자기중심적 행동의 전형입니다.)

한국 사회는 아이들을 좀 다르게 대합니다. 학생들은 학교에 몸담고 있는 동안 성적 등급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한국의 아이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할 즈음 그들은 벌써 사회에서 자신의 등급이 어디인가를 압니다. 이 말은 진정으로 우수한 학생들만 칭찬 받을 자격이 있다는 뜻인가요? 제 아내로부터 고등학교 시절 대학 입학시험 준비할 때 얘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한국에서 ‘특별한’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정말 공부를 잘해야 하더군요. 제 말은 물론 가족들은 어떤 아이든지 특별하다는 것을 알지만, 세상에 그것을 알리기 위해서는 좋은 성적이 필요한 것 같다는 얘기죠.

성적이나 등급에 따라서는 아니지만, 모든 아이들이 특별하고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될 수 있다고 주입하는 미국의 방식이 지나칠 때가 있습니다. 생각해 보세요. 모든 아이들이 대통령이 될 만한 자격을 가칠 수는 없는 거잖아요. 하지만 미국 사람들은 어떤 가능성이든지 잃을까 두려워합니다. 누가 알겠습니까 고등학교 때 못 따라가던 아이가 차세대 세계 지도자가 될지요.

문제는 사람들이 세상이 자기에게 빚졌으며, 큰 노력도 하지 않고 무엇이든 자기가 가질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전부 나에 대한 것이지!” 같은 글귀가 쓰여 있는 티셔츠를 입고 다니는 십대들을 쇼핑몰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광고를 보다 보면 “당신은 자격이 있어요!”라는 말이 매혹적으로 들립니다. 매학기 제가 학교에서 부딪히는 학생들은 자신의 노력이 더 필요하다거나, 자기가 대학에 다닐 만큼 똑똑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은 생각하지 않고, 시험을 더 쉽게 내달라고 요구합니다. 자기에게 그럴 만한 권리가 있다는 것이죠. 자기는 특별한 존재이니까요. 이는 지난주에 제가 말씀드린 자신감과 분명히 다릅니다. 이는 자신감이 아니라 자기중심성이지요.

우리가 속한 문화나 나라에 상관없이 우리는 누구나 특별한 존재가 되고 싶어 합니다. 자신이 특별한 존재라는 것을 세상에 증명하고 싶어 합니다. 성적이나 사회의 등급에 상관없이 우리가 모두 하나님의 귀한 창조물이라는 것을 기억한다면, 우리는 훨씬 행복해 질 것입니다. 이 세상 모든 일이 나에 대한 것은 아니니까요!

글· 제이 브라운 / 번역· 김은정

* 제이 브라운은 텍사스웨슬리대학에서 심리학을 가르치고 있는 행동심리학자다. 한국 사람과 문화를 사랑하는 그는 한국인 아내와 결혼해 아들과 딸을 두고 있다.

Column 10  “I’m special!”

This week I was at work and had a few minutes to fill between meetings so I decided to surf the net a little bit. I came across an interesting research study reported at CNN.com. According to the study, vanity is on the rise for American college students. I definitely see this every day at work. Students are becoming obsessed with themselves. American children are told repeatedly from an early age that they are special. Teachers inmust treat every child as a special and unique individual. If a teacher has the nerve to call a child stupid (or even less than good), that child’s parents would sue the school system so fast, the teacher hurt the child’s self-esteem. Even at the university level, I’ve had to switch from using a red pen to correct papers because the sight of the red ink “upsets” students and makes them feel less worthy, I use purple now. Soon purple will be the new red!
Now it feels like a noble thing to tell a child they are special, but the study’s authors report that this way of treating American children has long-reaching consequences including making them more and more self-centered. Self-centered is just a short step away from selfish. In fact, the study’s authors take the self-centeredness a step further and proclaim that we are raising a generation of narcissists that only care about themselves. Narcissism is definitely not a label I want to have! I thought I was a good person that cares about others! (Am I being in vain here?) Self-centeredness leads to less committed romantic relationships as well as problems in jobs and parenting (just look at the way Britney Spears is raising her children, just exactly the type of self-centered behavior that the author’s are referring to).

Korean society tends to treat children a little differently. Students are obsessively ranked throughout the school years. By the time Korean kids graduate from high school, they definitely know their position in society. Does this mean that praise is reserved only for those children that truly excel? My wife tells me stories of her time in high school while preparing for her college entrance exam. Boy, it’s a lot of studying to be “special” in . Of course the family knows that their children are special, but to let the world know that the child is special seems to require good grades.

Maybe Americans are going too far, not with their obsession with grades or ranks, but by giving every single child the belief that they are special and can become anything they want. Let’s face it, some kids just don’t have what it takes to become president. However, people in are afraid to lose any potential. Who knows, the kid who is underachieving in high school could go on to become the next great world leader.

The problem is that people think the world owes them and they deserve something without working hard for it. I’ve seen teenagers at the mall, wearing T-shirts that say things like “It’s all about me!” I hear commercials saying “You are worth it!” and it sounds so attractive. I have to deal with students every semester who demand easier tests without considering the possibilities that they need to work harder or they may not really belong in college. They think they deserve it. It’s because they’re special! This is not the American confidence I talked about in last week’s column. This is not confidence, but self-centeredness.

Regardless of our nationality or the culture we come from, we all want to be special. We want to prove it to the world. If we just remember we are all God’s precious creatures regardless of our grades or social rank, we’d be much happier. It’s not about me!

* 이 기사는 <미주뉴스앤조이>와 기사 제휴 관계를 맺고 있는 <코넷>(http://www.thekonet.com)에 실린 것을 허락을 받아 게재한 것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