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청년, 한국 할머니와 사랑에 빠지다
미국 청년, 한국 할머니와 사랑에 빠지다
  • 김종희
  • 승인 2007.12.14 21: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군 성노예 생존자 노래 연구하는 조수아

‘야스쿠니 신사 합사’ 문제를 다루는 국제 컨퍼런스가 지난달 뉴욕 맨해튼에 있는 컬럼비아대학에서 열렸다. 한국에서 알고 지내던 몇 분들이 왔기에 참석해서 저녁식사까지 함께 했다. 저 멀리 떨어진 테이블에서 한국과 미국의 청년들이 어울려 신나게 얘기하는 걸 보면서 부러워했다. 식당에서 나와 작별 인사를 하려는데, 미국 청년의 입에서 나오는 말이 내 귀에 너무나 쏙 들렸다. 영어가 이제 들리기 시작하나? 아니다. 그가 한국말을 한 것이다.

발음뿐만 아니라 표현까지 유려하게 쓰는 것이 희한했지만, 백인이 야스쿠니 신사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도 호기심을 자극했다. 게다가 컬럼비아대학에서 한국 음악을 가르친다고 하니, 그저 인사만 하고 넘어갈 수는 없었다. 그래서 거의 한 달 뒤에 컬럼비아대학 근처 식당에서 다시 만났다.

그는 내가 자기보다 어린 줄 알았고, 나는 그가 나보다 한참 어린 줄 알았다. 그래서 청년이라는 표현을 썼던 것이다. 막상 주민등록증을 까보니(실제로는 없지만) 나보다 약간 어린 36살이었다. 그는 작년에 시카고대학 음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지금은 컬럼비아대학에서 포스트닥터 자격으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었다.

일본군 성노예 생존자들의 노래 연구

   
 
  ▲ 조수아(Joshua Pilzer)는 시카고대학에서 '한국 음악'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지금은 뉴욕에 있는 컬럼비아대학에서 '한국 음악'을 가르치고 있다. 그는 일본군 성노예 생존 한국 할머니들이 평소에 즐겨 부르는 노래에 담긴 의미를 연구해 논문을 썼다.  
 
조수아(Joshua Pilzer)는 워싱턴주립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나, 대학을 졸업하고는 음악 활동을 하다가 대학원에서 음악인류학을 전공했다. 전공을 좇아 세계 각국의 토속 음악을 찾아서 듣던 중, 한국인 친구가 자기한테는 너무 어렵다면서 ‘시나위’를 들려주었단다.

기자가 “그룹 시나위 말인가요?” 하고 물었더니, 약간 기가 막히다는 듯 “아니 서태지 뭐 그런 거 말고, 굿할 때 하는 무속 음악 있잖아요” 한다. 아무튼 조수아는 시나위를 듣고 한국 음악에 빠져들었고, 특히 남도와 서도 음악에 뿅 갔다. 하와이에 한국 음악을 가르치는 교수를 찾아간 하와이대학에서 석사 과정을, 시카고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마쳤다.

석사 과정 중이던 1997년 처음 한국을 방문했다. 한국의 전래 음악에 빠져서 지냈다. 개인에게 있어서 일상의 삶에서 음악이 어떤 의미가 있고, 삶과 음악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연구하다 보니 감각이 일반인들과는 다르게 발달될 수밖에 없는가 보다.

99년 텔레비전에서 일본군 성노예 생존자들(그는 ‘종군위안부’라는 표현을 안 쓴다고 했다)이 나오는 다큐멘터리를 보았는데, 거기서 할머니들이 흥얼거리는 소리에 귀가 열렸다. 할머니의 목구멍 너머 그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한, 아픔, 흥겨움……, 뭐라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들이 환청처럼 들렸다. 그는 일본으로도 건너갔다. 할머니들이 유독 일본 노래를 많이 불렀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한국과 일본과 미국을 오가면서 공부했다.

연구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2002년 여름. 경기도 이천에 있는 나눔의 집에 아예 둥지를 틀었다. 3년을 이곳에서 지내면서 할머니들이 젊었을 때 자주 불러서 지금도 어렴풋하게나마 기억하는 노래들과 최근 즐겨 부르는 가요들을 일일이 녹음했다. 이렇게 전국을 돌면서 녹음한 구전가요나 민요가 500곡이 넘는다. 조수아는 틈틈이 할머니들이랑 텃밭도 가꾸고, 이곳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게 통역도 해주었다. 가끔 할머니들한테 배운 노래를 들려주기도 했다. 물론 일본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는 시위가 있을 때도 빠질 리가 없었다.

그는 나눔의 집에서 함께 자원봉사를 했던 일본인 사진작가 야지마 쓰카사와 함께 한국에서 몇 차례 전시회를 열었다. 쓰카사가 찍은 할머니들 사진에 조수아가 녹음한 증언과 노래를 붙이는 방식이었다.

해방, 남에겐 희망 나에겐 절망

그중에는 기막힌 사연이 담긴 것도 있었다. 여든이 된 이용수 할머니가 조수아에게 들려준 노래 제목은 ‘조종사의 노래’다. 1928년 대구에서 태어난 이용수 할머니는 아들 많은 집에서 외딸로 태어났다. 금지옥엽 사랑을 독차지하며 자라기에는 집이 너무 가난했다. 어려운 살림을 돕기 위해 공장에서 일하다가 해방되기 직전인 1944년 ‘좋은 곳에 취직시켜주겠다’는 일본인의 감언이설에 넘어가 대만에 있는 위안소로 끌려갔다. 그 위안소에는 가미가제 부대(자살 특공대로 알려진)원들이 들락거렸다. 할머니에게 ‘도시꼬’라는 일본 이름을 지어준 어떤 군인이 출정하기 전에 할머니에게 가르쳐준 노래다.

“전투기는 뜨는데 대마는 멀어져
쿵덕 쿵 쿵덕 쿵~덕 구름 소리에
아무도 배웅해 주는 사람은 없지만
단 한 사람 울어줄 사람 그녀 한 사람이다

전투기는 뜨는데 대마는 멀어져
쿵덕 쿵 쿵덕 쿵~덕 구름 소리에
아무도 배웅해 주는 사람은 없지만
단 한 사람 울어줄 사람 도시꼬 한 사람이다”


   
 
  ▲ 할머니들은 위안소에서 일본군이 가르쳐준 노래를 배우기도 했고, 노래를 부르도록 시키면 억지로 노래를 불러야 했다. 그 노래들에는 할머니들의 한과 흥, 민족의 고통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나눔의 집 자료사진)  
 
얼마 전에 세상을 떠난 김순덕 할머니는 창부 타령을 부르곤 했다.

“팔월이라 십오일 날은 우리나라의 해방된 날
집집마다 태극기를 달고 거리마다 만세로다
만세~ 만세~ 독립 만세 우리나라 해방됐네
미국은 믿지 말고 소련에는 속지 말자
남북통일 앞당겨서 우리나라를 건설하여
억천만년을 살고 싶네
남 다 자는 고요한 밤에 나만 혼자 이래 앉아
지나간 일 펼쳐놓고 오는 내 설음 생각하니
산 밖에는 태산이로다 물 밖에는 태해로다”


저마다 해방의 기쁨을 안고 제 살 집을 찾아 돌아가게 되었지만, 전쟁터에서 군인에게 몸을 빼앗긴 젊은 여자들은 돌아갈 곳이 없었다. 해방이 남들에게는 희망이겠지만, 이들에게는 절망이었을지도 모른다. 그 고통을 무엇과 비교할 수 있을까. 할머니의 흥얼거림에는 개인의 슬픔과 민족의 아픔이 겹쳐져서 묻어 있었다. 우리 할머니들의 심장에서 새어나오는 이런 흥얼거림을 얼굴 하얗고 눈이 파란 이방인이 하나씩 둘씩 기록으로 남겨 놓는 작업을 몇 년간 했던 것이다.

원폭 피해 입은 한인 생존자 노래 연구 계획

조수아는 딱딱한 논문 때문에 한국의 할머니들과 연을 맺었지만, 그 논문 안에는 인간에 대한 깊은 연민이 담길 수밖에 없었다.

“내 학위 논문은 일본군 성노예 한국인 생존자들의 음악과 삶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여성들은 위안소에서 일본과 한국의 노래를 억지로 불러야 했다. 이들은 태평양과 동아시아, 동남아시아를 돌아다니면서 여러 나라의 노래를 듣고 불렀다. … 연구의 가장 큰 목표는 이 여성들의 음악을 체험의 기록으로서, 그리고 수난과 생존의 과정으로서 탐구하려는 것이다. 일본군 성노예 여성들의 경우 인간의 영혼이란 무엇인가, 영혼은 어떻게 수난을 당하고 음악을 통해 견뎌냈는가, 살아남고 자기를 규정하고 자기를 타인과 관련짓고 기억하고 잊고, 이런 과정에서 음악의 역할이란 무엇인가를 어렴풋하게나마 알 수 있게 해준다.” (‘일본군 성노예 피해 생존자 최 할머니의 삶과 음악’에서)

   
 
  ▲ 조수아는 2002년부터 경기도 광주에 있는 나눔의 집에서 3년간 할머니들과 같이 살면서, 할머니들이 평소 부르는 노래들을 일일이 녹음했다. 그렇게 기록에 남긴 것이 500곡이 넘는다. (Joshua Pilzer)  
 
조수아는 캐나다에서 태어나서 미국에 자랐지만, 그의 부모는 폴란드 태생이고 유대인이다. 홀로코스트의 역사를 알고, 아우슈비츠의 의미를 잘 알고 있다. 그래서 한국의 할머니들을 보는 그의 시선은 남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는 앞으로 식민지 시대의 강제 징용 및 강제 이주 생존자,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한인 원폭 피해 생존자, 월남 생존자 들을 만나서 그들의 입에서 나오는 노래가 자신들의 삶과 어떻게 호흡하는지를 계속 연구해나가려고 한다. 내년에는 일본군 성노예 생존자들의 삶과 노래에 대한 박사 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영어와 한국어로 된 단행본도 출간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