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프란치스코, 그리고 도치
이순신, 프란치스코, 그리고 도치
  • 김기대
  • 승인 2014.08.31 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화 '명량' 과 프란치스코 과잉의 아쉬움

현재 미주에서도 상영중인 영화  ‘명량’은 한국 영화의 흥행기록을 갈아치우며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오래전 성웅 이순신을 연기했던 김진규, TV 드라마에서 이순신을 맡았던 김명민처럼 잘생긴 얼굴이 아니라 ‘명량’의 김한민 감독은 거칠게 생긴 최민식을 이순신으로 캐스팅했다. 요즘 한국에서 나오는 말처럼 ‘나라 꼴이 말이 아닌’ 조선 선조 시절, 자신을 버린 나라지만 결국 번민끝에 직무를 수행한, 그래서 성웅의 이미지보다는 온갖 갈등과 두려움을 품은 이순신을 연기하기에는 최민식이 적격이었다. 감독은 최민식을 통해 영웅은 우리와 다른 사람이 아니라 우리 같이 두려움 앞에서 두려워 하는 사람, 우리 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말하고 싶은 듯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한국을 방문하고 돌아갔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전임 교황이 살아있는 상태에서 대체된 역사상 두번째 인물이다. 독일출신의 전임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본명은 요제프 라칭거로 가톨릭 신학계의 거물일 뿐 아니라, 취미로 하는 피아노 연주가 수준급이고, 교황 복장을 화려하게 입고 다닌 것으로 유명했다. 한마디로 우리와 다른 사람이었다.

 반면 프라치스코 교황은 가톨릭의 비주류인 예수회 소속에다가 비유럽권 출신으로는 역사상 두 번째 교황이다.  라칭거와 달리 젊은 시절 나이트 클럽 입구에서 규율을 잡는 기도로 일한 것만 봐도 모든 면에서 엘리트 전임 교황과 대비된다. 거물 신학자 라칭거를 통하여 교리를 바로 세우는 일보다 대중들 속으로 친근하게 다가가는 것이 현재 교회에 주어진 사명이라고 교황청은 판단했던 것 같다.

예수회 소속의 마태오 리치가 16세기말 중국에서 유교 선비 복장을 입고 다니며 선교하면서 유교 개념과 기독교 개념을 연결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것처럼 프란치스코는 무슬림도 만나고 동성애자도 만나면서 광폭 행보를 보였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높은 교황이 아니라 낮은 교황으로, 닫힌 교황이 아니라 열린 교황으로 마치 최민식 같은 이순신으로 우리 곁에 와서 많은 감동을 주고 떠났다.  보수적인 교황청이 그를 얼마나 참아낼지도 또다른 관전 포인트다. “나를 위하여 기도해달라”는 그의 요청이 왠지 두렵게 다가온다.

올여름 한국 영화계는 많은 대작을 선보였는데 ‘군도: 민란의 시대’(윤종빈 감독)도 그 중 하나다. 포털 사이트 네이버 영화에 따르면 ‘명량’보다 ‘군도’의 전문가 평점이 높다. 전문가들이 보기에는 ‘명량’보다 ‘군도’가 좋은 영화라는 말인데 관객 몰이는 ‘명량’만큼 성공하지 못했다. ‘군도’는 백정 도치(하정우분)가 민중의 편에 서서 탐관오리  조윤(강동원 분)에 맞선다는 설정이다. 의적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는 도적떼가 백성들을 위해서 탐관오리의 것을 빼앗아 나누어 주어도 받아만 먹을 뿐 대중들은 나서려 하지 않는다. 그러다가 마침내 백성들이 스스로 저항의 주체가 된다는 내용이다. 주인공의 본래 이름은 돌무치였으나 지리산 추설이라는 도적떼에 합류하면서 도치(倒置)라는 이름을 얻는다. 뒤집는다는 뜻인데 슬라보에 지젝이 즐겨 쓰는 도착(倒錯) 을 생각나게 한다. 영화는 악역 조윤의 입을 통해 “더러운 땅에 연꽃이 피어오르는 것은 신의 뜻인가, 연꽃의 의지인가”라고 관객들에게 묻는다.

우리는 연꽃의 의지가 필요한 시대를 살고 있다. 하지만 오늘의 시민들은  ‘군도’ 에 나오는 초기 백성들처럼 악이 악이라는 것을 모르고 수동적 존재로 살아가면서 영웅이나 성자만 기다리는 것이 아닌가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래서 사람들은 대중의 각성을 바라는 영화보다는 마음편하게 영웅이나 성자의 귀환만을 바라고 있다.

 ‘명량’의 관객은 주로 4~50대 남성들이 견인하고 있다고 한다.  젊을 때의 정의를 향한 열정은 잃어 버리고 비겁하게 살아가고 있는 중년 남성들이 영화를 통해 대리 만족을 얻으려 한다는 어느 영화평이 마음에 와 닿는다. 프란치스코가 보여주는 인간 중심의 가치관을 존경만하고 실천은 하지 않으려는 대중들의 비겁함도 과열된 교황 환영 분위기에 묻어 나는 것 같다.

 최민식을 캐스팅한 감독도, 프란치스코를 교황으로 뽑은 교황청도 영웅과 성인을 기다리지 말고 우리더러 그런 삶을 살라고 말하는 것 같은데 대중들은 오히려 그들처럼 되려하지 않고 대리 만족만 얻고 있다. 개신교 신학에서는 모든 이가 하나님 앞에 선 책임적 존재다. (만인사제설). 우리 모두 프란치스코가 되어 이웃을 돌보고 낮아지며, 정의와 평화를 위한 삶을 살 때 세상은 영웅에 의해서가 아니라 우리를 통해서 조금씩 변해 갈 것이다.

김기대, 편집장 / <뉴스 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