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주요 교단 최초로 국정교과서 반대 성명
통합, 주요 교단 최초로 국정교과서 반대 성명
  • news M
  • 승인 2015.10.21 02: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 예수교 장로회(통합) ( 총회장 채영남 목사)는 16일 국정역사교과서 반대 입장을 발표했다. 이는 한국 주요 교단 중 최초의 공식적인 반대 선언으로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통합은 한국 교회가 지난 130년 동안 민족의 독립과 민주화를 위해 노력해 왔다면서  “우리는 정부 당국이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를 추진하는 것이 역사해석의 자유와 사상의 자유를 제한하는 오류를 낳을까 두렵다”며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제도 선택을 다시 생각하라고 요청했다.

또한 통합은 역사교과서에 기독교 관련 서술이 타종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에 우려를 표하면서 기독교의 역할을 인정하는 집필 기준을 마련해 줄 것을 촉구했다.

지난 7일 C채널이 마련한 특집좌담 ‘교단 총회장에게 듣는다’에는 합동 박무용 총회장과 고신 신상현 총회장, 대신 장종현 총회장, 통합 채영남 총회장이 자리를 함께 한 대담에서 교과서 부분에 대해 통합을 제외한 나머지 3개 교단 총회장이 국정교과서 지지를 주장해  SNS에서 비판을 받았었다.  

다음은 통합측의 성명서 전문이다.

최근 역사교과서 논의에 대한 본 교단의 입장

한국교회는 지난 130년 동안, 역사의 주인은 하나님이시라는 믿음을 고백하며, 민족사회의 치유와 풍성한 생명을 위해 노력해 왔다. 19세기 말, 국권이 위협을 받을 때 나라를 사랑하고 충성을 다하는 도리를 실천하였고, 일제 식민지 시절에는 삼일독립운동, 애국계몽운동, 물산장려운동, 신사참배 불참여운동 등 민족의 독립을 위하여 고난을 무릅쓰고 헌신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민주화와 인권운동, 평화통일운동, 환경운동, 생명운동 등을 꾸준히 전개하였다. 이러한 전통에 기초하여 우리 총회는 최근 역사교과서와 관련된 논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밝힌다.

 

우리는 정부 당국이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를 추진하는 것이 역사해석의 자유와 사상의 자유를 제한하는 오류를 낳을까 두렵다. 1895년 처음 발행된 근대교과서는 검인정제도를 지속해 왔으나, 1972년에 유신체제가 들어선 이듬해인 1973년에 국정제도로 바뀌었다. 이는 국가 권력이 역사해석을 독점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역사적 사실을 선택적으로 교육하고 획일적 해석만을 강요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1997년에 다양한 해석을 통해 역사 성찰의 능력을 함양하도록 다시 검인정제도로 변경한 것이다. 정부 당국은 이러한 변화의 과정이 지니는 역사적 의미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국정제도 선택을 재고해 주기 바란다.

 

우리는 역사교과서와 관련된 논란이 국정제도의 채택에만 국한되지 않고, 중고등 학생을 위한 한국사 교과서의 근현대 역사 부분에서 기독교의 역할을 축소 왜곡한 사실 역시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기독교는 교육, 의료, 복지, 출판 등의 여러 부문에서 한국사회의 근대화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그러나 대표적 교과서인 미래엔 교과서는 다른 주요 종교에 대해서는 5~6쪽에 걸쳐 서술하고, 신흥민족종교도 1쪽씩 할애한 반면, 기독교에 대해서는 천주교를 포함해서 불과 3줄로 극소화하여 처리하고 있다. 전근대사에서 역사가 오래된 한국종교를 중요하게 다뤘다면, 근대화과정에서 기독교의 역할과 공헌도 중요하게 서술하는 것이 역사 서술의 사실성과 형평성에 맞을 것이다.

 

역사 해석의 다양성은 삶의 자리에서 역사를 성찰하는 능력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 이를 결여한 세대는 분단시대의 극복과 동북아시아와 세계평화에 대한 성찰 능력을 구비하기 어려울 것이다. 비판적 자정능력을 결여한 지성은 흑백논리에 기초하여 일방적으로 역사를 해석하고 타인에게 강요하는 폐해를 낳을 수 있다. 우리는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로 인해 다음세대가 획일적인 역사 이해 속에서 성장하게 될 것을 심히 염려한다. 정부 당국은 이러한 점들을 십분 감안하여 역사교과서 국정제도를 재고할 뿐만 아니라, 역사교과서의 근현대사 서술에서 기독교를 공정하게 다루는 역사교과서 ‘집필기준’을 마련하기 바란다.

편집부 / <뉴스 M / 미주 뉴스앤조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