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한국 사회의 여성 혐오
[칼럼] 한국 사회의 여성 혐오
  • eyesopen1
  • 승인 2016.06.18 03: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의 어머니는 20대 때 권위적인 자신의 아버지를 견디다 못해 2년간 한국을 떠나 생활한 적이 있다. 그러나 결국은 귀국하자마자 그 길로 등 떠밀려 보수적인 나의 아버지와 결혼을 해야 했다. 어머니는 살면서 자신이 남편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을 서서히 깨달았지만, 이혼은 여전히 금기였기 때문에 나를 데리고 캐나다로 떠나는 길을 택했다. 장거리 결혼 생활의 구실은 자녀 교육이었지만, 동시에 가부장제로부터의 탈출이기도 했다.

그 후 20여 년이 흘렀다. 어머니는 여전히 캐나다에 주소를 두고 있지만, 서울에서 아버지와 지내는 일도 잦아졌다. 이제는 아흔 줄에 접어들어 늙고 쇠약해진 자신의 아버지와도 가끔 식사를 함께한다. 어머니 인생의 남자들도 이제는 기세가 누그러졌고, 어머니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이런 식의 생활이 가능해진 것이다. 우리 가족 내에서는 이렇게 오랜 세월 끝에 성 평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한국에서 젠더 문제가 개선되기를 가만히 앉아 기다리는 것은 좋은 전략이 아니다.

5월 17일 아침, 서울 번화가의 술집 화장실에서 젊은 여성이 칼에 찔려 살해당했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전국에 전해졌다. 살인 사건 보도 자체가 드문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을 놀라게 한 것은 30대 남성 용의자의 범행 동기였다. 체포 직후 그는 경찰에게 여자들이 항상 자신을 무시했기 때문에 범행을 저질렀다고 말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많은 여성이 평생을 견뎌온 여성 혐오의 무게를 털어놓기 시작했다. 그러나 남성 다수는 살인이 여성 혐오적 행위였다는 주장을 일축하면서 여자들이 예민하게 군다는 반응을 보였다.

많은 남성은 한국이 뿌리 깊은 가부장 사회이며 젠더 문제가 사회에 독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고 싶을 것이다.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는 교착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 너무나 많은 여성이 2등 시민 취급을 받으며 부당한 폭력과 대상화, 차별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문제에 쉬운 답은 없다. 하지만 국회에서 10년 가까이 계류 중인 차별금지법을 통과시키는 것은 중요한 첫걸음이다. 성별 등과 관계없이 모두가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의 법안이기 때문이다. 이 점이 법으로 명시된다면 여성과 소수자도 동등한 권리를 누려야 하는 존재라는 점을 분명히 할 수 있다.

겉으로 보면 한국 사회는 성 평등 부문에서 큰 발전을 이룩한 것처럼 보인다. 현재 국가수반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며, 행정부 내에는 여성가족부라는 조직이 따로 마련되어 있다. 여성 긴급대피소로 지정된 24시간 편의점도 곳곳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여성들이 처한 현실은 암담하기 짝이 없다.

경찰 자료에 따르면 2013년 기준, 폭력 범죄 피해자의 86%는 여성이다. (폭력 범죄 대부분은 성범죄의 특성을 띠며, 성범죄의 피해자도 여성인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어떤 여성들에게는 가정마저도 안식처가 되지 못한다. 배우자에 의한 폭력 신고 건수는 최근 몇 년간 증가 추세다.

사회가 여성을 묘사하는 방식에도 문제가 많다. 한국 영화가 여성의 신체를 다루는 방식은 때로 상상을 초월할 만큼 잔인하다. 최근 인기 식도락 프로그램에서는 맛있게 익어가는 삼겹살 화면에 걸그룹 멤버의 뒤태를 연상시킨다는 자막을 달기도 했다.

이러니 세계경제포럼이 발표한 성평등 지수 순위에서 한국이 145개국 중 115위를 차지한 것도 무리는 아니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여성이 받는 임금은 남성의 2/3 수준이다. 2015년 기준, 한국 500대 기업 가운데 자료를 제출한 348개 기업에서 여성 임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2.3%에 불과하다.
5월 17일에 일어난 살인 사건에 대한 남성들의 일반적인 반응은 한국 사회에서 여성 혐오의 뿌리가 얼마나 깊은지를 보여주는 실마리와도 같다. 피해자를 추모하기 위해 마련된 웹사이트에 몰려들어 댓글난을 점령한 남성들은 여성들이 과잉 반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자기 몸은 자기가 지켜야지.” 한 남성 친구가 페이스북에 올린 글이다.

인구 붕괴를 우려하고 있는 나라에서, 여성혐오와 젠더 불평등의 문화는 가정생활에도 영향을 미친다. 선진국에서 출산율이 낮다는 것은 곧 여성의 젠더 역할에 대한 인식이 후진적임을 의미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2015년, 한국의 혼인율은 12년 만에 최저치로 내려앉았고, 출산율은 몇 년간 세계 최저 수준이다.

한편, 한국 남성들은 OECD 회원국 남성들 가운데서 가장 집안일을 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남성이 집안일에 할애하는 시간은 하루 45분으로, 여성의 5분의 1에 불과하다.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 젠더 이슈를 둘러싼 토론에 불이 붙자, 경찰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갈등을 조장하는 게시물”을 삭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온라인상의 갈등이 사회적으로 표출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설명이 붙었다.

정부에 의해 부적절하다고 판단된 온라인 콘텐츠가 삭제되는 것은 늘 있는 일인 만큼, 이례적인 조치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부적절한 언어로 남성 또는 여성을 비하하고 있는 개인 게시물을 삭제하겠다는 경찰의 방침은 한국 사회에서 여성 문제에 대한 논의를 차단하겠다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시민들의 입을 막는 것은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오랫동안 계류되어 온 차별금지법이 통과된다면 차별은 줄어들고 법적인 보호와 보상이 가능해지며, 나아가 여성 혐오도 줄어들 수 있다. 여러 UN 협약이 이러한 법의 도입을 촉구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종교 단체와 재계의 반대로 2007년 이래 세 차례나 입법이 무산되었다.

그나마 어머니는 마음의 평화를 되찾았다. 어머니의 자유를 빼앗은 과거를 후회하는 쪽은 오히려 외할아버지다. “아주 큰 인물이 됐을 텐데…” 함께 식사할 때면 외조부는 젊은 시절 어머니의 다재다능함을 떠올리며 몇 번이고 이렇게 말씀하신다. 어머니 인생을 돌이키기에는 때늦은 후회다. 하지만 새로운 세대의 한국 여성들에게 합당한 존중을 표하기에는 아직 늦지 않았다. (뉴욕타임스)

본지 제휴 <News Peppermin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