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활성단층 알고도 원전 위해 정보 은폐했다
정부, 활성단층 알고도 원전 위해 정보 은폐했다
  • 유영
  • 승인 2016.09.21 03: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고리 원전 건립 계획 즉각 취소하라는 국회와 시민단체 목소리 높아져
(사진 : 연합뉴스)

최근 지진이 이어지는 양산단층대가 활단층이라는 결과를 알고도 정부가 은폐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지질조사 결과를 은폐하고 원전 가동을 계속 진행했고, 추가 건설도 추진한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원전 추가 건립을 취소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2012년 양산단층대가 활단층이는 조사 결과를 보고했다. 당시 연구책임자는 “지질조사 결과 활성 단층이라는 결론을 내려 공청회를 열었지만, 정부가 사회적 파장을 우려해 공개를 반대했다”고 했다. 한국수력원자력도 이러한 사실을 숨겼다. ‘단층대 주변 주민 불안감이 가중되고, 환경단체도 원전 가동에 반대할 것’이라며 발표하지 않았다. 

연구원은 2009년 국민안전처(당시 소방방재청)로부터 3년 과제로 20억원을 지원받아 양산·울산 단층을 중심으로 '활성단층 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R&D(연구개발)을 진행했다.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한 양산단층대는 경주∼양산∼부산 170km에 이르는 단층이다. 이 지역은 원자력발전소가 밀집한 고리·월성 지역과도 가깝다.

문제는 정부가 활성 단층을 확인하고도 원전을 더 건립하려 했다는 데 있다. 난 2012년 연구원 보고가 있었을 당시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원전을 운행해 왔을 뿐 아니라 추가 건설까지 계획해 진행한 것이다. 정부는 지난 2015년 고리·월성 지역에 추가로 원전을 짓기로 했다. 이 지역은 현재 운행 중인 원전 만으로도 세계 최고 원전 밀집 지역으로 꼽히는 곳이다. 

(사진 : 부산일보)

1970년대에 건설된 부산 고리원전은 인근에 활성 단층이 없다는 전재 아래 건설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한반도에 활성단층이 있다는 사실은 1980년대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정부는 1970년대 자료를 공개하지 않고 있어 환경단체와 학자들이 고리원전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나서고 있다. 1970년대 우리나라 지질학계는 활성단층을 조사할 여력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당시 캐나다 회사에 연구를 맡겼다. 한국 지질도 모르는 외국 학자들이 조사하고 활성 단층이 없다는 결과는 낸 것이다. 

이를 두고 환경단체와 국회의원들도 신고리 원전 건설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등 야당 의원들이 주축이 된 ‘탈핵·에너지전환 국회의원모임’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는 신고리 원전 5, 6호기 건설 허가를 즉각 직권 취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탈핵단체들도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탈핵부산시민연대와 천주교 한·일 탈핵평화순례단은 이날 오후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원자력본부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울산·경산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 신고리 5, 6호기 건설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