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제대로 알고 미화하지 말라’는 목사님께

'나는 제대로 알고 있'다는 확신을 의심하자.

2017-06-28     김동문
아라비아 만(이란에서는 호르무즈 해엽이라고 부릅니다)에 자리한 아랍 이슬람 왕정 국가 중에 아랍에리미트가 있습니다. 그 중 두바이에 부르즈 알-아랍 이라는 인상적인 건물이 있습니다. 그 건물 가까운 곳의 해변에서 일광욕을 즐기는 풍경입니다.

ㄱ목사님께! 직접 얼굴을 대면한 적도 없는 입장에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 혹시 목사님께서는 내가 들어온 것에 대해 ‘과연 그럴까?’ 의심해 본 적이 있습니까? 이 의심은 사실, 진실에 대한 궁금함과 갈증의 다른 표현이라 생각합니다. 최근 페이스 북 타임라인을 타고 올라있는 이런 글을 마주했습니다. 바로 ㄱ 목사님이 쓰신 글이었습니다. 한 교회에서 담임 목사로 섬기고 계시더군요. 목사님께서는 담벼락의 글에서 이렇게 교훈하고 계셨지요.

"무슬림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사랑하기 원한다면 무함마드의 삶과 가르침을 이해해야한다. 중동권에서 살았던 경험으로 이슬람을 미화하는 사람들을 조심하라. 1,400년 동안 꾸준히 이슬람이 진행해온 샤리아와 지하드가 이슬람을 제대로 보여준다. 제발 제대로 공부하자."

이 글을 보면서 여러 가지로 내 마음이 불편했습니다. 목사님과 같은 이런 생각을 갖고 있는 목회자, 기독교인들이 무척 많은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내 주변에도 넘쳐납니다. 노골적으로 혐오를 쏟아내든, 이런 식으로 은근하게 비꼬든지, 절대 다수가 이런 비슷한 입장을 갖고 있습니다.

대학에서 아랍, 이슬람, 중동의 배운 저는 걸프 전쟁이 터지기 직전인 1990년 11월 이집트 카이로에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이후 나는 여러 가지 고민과 혼란을 겪었습니다. 내가 한국에서 배운 아랍어, 중동, 이슬람 세계가 현실에 거의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내가 들어온 것, 머리로 배워온 것을 믿을 것인지, 내 눈 앞에 펼치지는 엄연한 현실을 받아들일 것인지 갈등했습니다.

그 이후 지금도 나는 내가 지금까지 알고 있던 것은 지금도 진실일까 의심하곤 합니다. 사람 사는 세상은 살아있는 생명체이기에 변하고 있습니다. 어제와 오늘이 똑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10년 전 정보로 지금 상황을 쉽게 단정하는 것은 안 됩니다. 내 기억 속의 어떤 사람에 대한 평판으로 지금 내 앞에 서있는 사람을 규정짓는 것도 곤란합니다. 나는 내가 시간 속에서 경험한 것이나 남에 의해 내게 주어진 것을 갖고 살아갑니다. 내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지식과 경험이 편견 또는 선입견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함을 지금도 배우고 있습니다.

나는 '제발 제대로 공부하자'는 그 지적에 동의합니다. 그 연장선상에서 이런 질문을 던지고 싶습니다.

당신은 무함마드의 삶과 가르침에 대해 어떻게 연구했는지요? 무엇을 읽었고, 누구에게 무엇을 들었고, 무엇을 질문했는지요? ‘이슬람을 미화한다’는 표현은 무엇을 뜻하신 것인지요? 목사님이 듣고 믿고 있는 것보다 이슬람, 무슬림의 긍정적인 면을 더 말하면 그것이 미화라고 생각하시는 것인가요? 상대방의 좋은 것을 좋은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미화라고 생각하시는지요? 목사님이 생각하는 것, 당신에게 알려진 것, 당신이 알고 있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으신지요?

지난 1,400년 동안 이슬람이 진행해온 샤리아와 지하드는 무엇을 표현한 것인지요? 이와 관련하여 누구를 통해, 무엇을 통해 배웠는지요? 이 주제에 대해 목사님 스스로 연구해 본적이 있는지요? 무엇이 ‘샤리아’(이슬람법)인지, 무슬림이 아닌 중립적인 중동연구자, 학자들에게 묻고 듣고 연구해본 적이 있는지요? 그들 학자들이 쓴 책이라도 읽어본 적이 있는지요? 기독교인, 무슬림, 무종교 배경을 가진 다양한 중동 관련 학자들이 이구동성으로 말하고 있는 것에 대해 들어는 보았는지요?

종교개혁 500주년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종교개혁자 마틴 루터가 독일어 꾸란 번역서 출판을 응원하고 서문을 작성했다는 것을 알고 있는지요? 이슬람 세계, 그리고 무슬림들에게 복음을 전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꾸란을 서구 언어로 번역하고 연구하던 종교개혁의 전통을 당신은 기억하고 있는지요? 고작 이슬람을 비판하고 비난하기 위해 조악하게 꾸민 꾸란, 이슬람 비판 글 몇 개를 접하고서 이런 식으로 확신을 발산하는 것이, 나름 배웠다고 하는 이로서 취할 당연한 것일까요?

제발 자기 전문 영역 밖의 세계에 대해 쉽게 단정 짓고 쉽게 가르치려 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과연 그럴까? 합리적 의심을 갖고 역사를 배우는 우리가 되면 좋겠습니다. 목사님의 입장에 대해 건강한 교단 소속의 학자와 목사, 선교사들로부터도 들으시면 좋겠습니다. 특별히 이견을 갖고 있는 이들로부터도 들으시면 좋겠습니다. 스스로 확인하기 전에는 쉽게 단정 짓지 않는 ‘여유’를 가져주면 좋겠습니다.

잠시 한국을 떠올려보면 좋겠습니다. 1년 전, 6개월 전 그리고 한 달 전 한국을 떠올려보면 어떤 느낌이 다가오나요? 어떤 풍경이 눈앞에 그려지나요? 기독교, 한국 기독교의 모습은 또 어떤가요? 10년 전, 5년 전 그리고 일 년 전, 지난주 교회를 떠올리면 어떤 느낌의 차이가 있나요? 목사님은 한국 교회를 한 두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나요? 목사님이 공부하신 신학대학원 학생들을 한 두 문장으로 규정지어보시기 바랍니다. 쉽지 않을 것입니다. 쉽지 않아야 하는 것이 정상입니다. 그런데 이슬람을, 무슬림을 한 두 문장으로 단정하는 것에 익숙한 것이 우리의 모습입니다.

중동을 떠올리면 그곳에서 만났던 나쁜 자들도 기억납니다. 정치지도자도, 이슬람극단주의자도, 불의한 자들도 떠오릅니다. 동시에 다수의 절대 다수의 이웃들이 다가옵니다. 내가 만난 이 한사람으로 인해 전체를 좋다, 나쁘다 단정하지 않습니다. 규정짓지도 단정하지도 않는 여유를 배워갑니다. 40년 50년을 배웠는데도 아직도 성경을 잘 모르겠습니다. 30년, 40년을 중동을 접해왔지만, 아직도 모르는 것이 가득합니다. 다만 성경 속 하나님이 중동에 계셨고, 지금도 계시고, 앞으로도 그곳에 계시며 말씀하시며, 그 땅과 그 백성들을 사랑하신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아랍 이슬람 세계에도 계시며 말씀하시며 일하시는 하나님을 우리가 제대로 알면 좋겠습니다. 나는 목사님께서 이런 질문을 스스로 하거나 들어보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착각일 수도 있지만. 이슬람에 대해 부정하고, 무슬림을 혐오하고 비난하는 것(만)을 당연한 것, 옳은 것으로 생각하는 이들에게 던지고 싶은 질문이 있습니다. ‘당신은 기독교 복음주의 공동체에서 이슬람 선교를 위하여 만든 '인카운터 이슬람'이라는 책이라도 읽어 보았는가?’, ‘건강한 사역단체 프론티어스가 이 책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는 인카운터이슬람 교육과정(http://frontiers.or.kr/ewi/?ckattempt=1)이라도 들어봤는지요? 제대로 배워보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