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람의 소명과 자본주의적 해석
아브람의 소명과 자본주의적 해석
  • 성기문
  • 승인 2008.01.31 02: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세기의 자본주의적 해석(3)

성경에서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세 번 부르셨다. 우선 아브라함은 갈대아인들의 우르(혹은 하란)에서 부르심을 받는다. 하나님의 부르심은 아브라함이 어떠한 사명을 감당하기 위함이었다. 둘째, 오랜 후에 모세를 먼저 시내산에서 부르셨던 하나님은 다시 모세를 보내어 이집트 땅에서 종노릇하고 있었던 이스라엘을 불러내어 시내산에서 그 부르심의 목적과 부르심의 내용을 말씀하셨다. 그 후에 마지막으로 예수는 12명의 제자들을 통하여 그리스도인들을 부르셨다. 이러한 각각의 부르심은 서로 다른 면도 있지만 연결되는 부분들도 있다. 하나님이 자기 백성을 부르신 이유는 그 백성이 그 목적에 ‘걸맞게’ 살게 함이었다.

아브람의 부르심(소명)

아브람의 부르심은 창세기 12:1-3에 잘 나타나있다. 이 부르심은 두 개의 명령형으로 특징져진다. ‘가라’와 ‘복이(되어)라’다. ‘가라’의 첫 번째 명령형은 ‘(너의 고향과 친척과 아버지의 집)으로부터’와 ‘(내가 네게 보여줄 땅)으로’라는 세부 사항들이 있다. 즉 원래 거하던 땅(갈대아인들의 우르, 혹은 하란)으로부터 나와서 하나님이 주시는 땅(가나안 땅)으로 가야 하는 것이다. ‘복이(되어)라’는 두 번째 명령형은 (약속의 땅에서) 아브람 자신이 복이 되는 과정(큰 민족, 이름이 창대해지는 복)과 이웃을 위한 복이 되는 과정(너로 인하여 땅의 모든 족속이 복을 받게 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가 오해하지 말아야 할 몇 가지가 있다.

우선 이 부르심 자체는 아브람이 물질적으로 부자가 될 것을 명확하게 말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큰 민족’이라는 말은 자손의 수가 많아진다는 의미일 뿐이며, 이름이 창대해진다는 말은 아브람의 이름이 존경을 받으며 위대해진다는 말이지, 그가 부자가 된다거나 권력자가 될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복은 수단적 의미다. 이 아브람의 소명의 두 번째 요소는 아브람이 하나님으로부터 복을 받는 것이 모두 하나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함이며 그 복은 치부와 축적의 수단이 아니라, 나눔과 공유적 기능이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아브라함의 ‘복’을 언급하고 있는 이 본문은 아브람이 부르심을 받은 ‘지시할 땅’(가나안땅)에서 이루질 일들로 묘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아브람의 소명은 여기서 끝난 것이 아니라, 한 가지 요소가 더 남아있다.

“내가 아브라함을 선택한 것은 아브라함이 자식들과 자손에게 야훼의 도를 지켜 공의와 정의를 행하도록 가르치기 위함이다”(18:19)

불행하게도 이 말씀은 아브람의 소명을 다루는 데 있어서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 말씀은 아브람의 소명을 다루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이 구절은 17절에서 아브람의 소명에 대한 재확인과 관련하여 추가되고 있다. 앞서 말한 대로 아브람이 땅의 모든 족속이 복을 받게 하기 위한 도구적 부르심을 받았다는 것과 이러한 일이 한 요소가 바로 “야훼의 도를 지켜 공의와 정의를 행하도록 가르치기” 위함이었다. 물질의 분배와 사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실 공의와 정의라는 원칙인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두 가지 요소들을 근거로 족장들의 물질적인 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족장이 어떻게 치부하게 되었는가? 이 치부와 하나님의 축복과는 어떤 관계가 있었는가? 족장이 이 물질적인 부를 자손에게 물려주는 것에 있어서 발생한 갈등과 부조화는 어떻게 해소되었거나 악화되었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우리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하나님의 소명이 어떻게 사유화되며 가족을 파괴하며 개인의 편애에 따른 갈등과 불화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경제적 양극화시대를 사는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중요한 교훈 거리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이제 본격적으로 본 논의의 초두에서 언급한대로 한국 교회에서 만연하고 있는, ‘사유재산과 시장경제’라는 자본주의적 이념에 근거한 ‘사유화와 무한경쟁’을 정당화하는 창세기 해석학의 틀을 아브람의 소명에서 발견된 원칙들과 이후의 본문들의 몇 가지 요소들을 비교분석해보면서 그 정당성과 허위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자세한 논의는 http://www.cyworld.com/moses_torah를 참조하면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