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 왜 방관하는가…“이 땅에 대한 책임감부터”
‘신’은 왜 방관하는가…“이 땅에 대한 책임감부터”
  • 장열
  • 승인 2023.02.24 07: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세윤 박사 단독 인터뷰
김세윤 박사는 이번 튀르키예 지진 참사에 대해 ″유신론적 관점에서 하나님을 원망하기보다 이 땅에서 청지기 노릇에 최선을 다하고 책임감을 더 갖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세윤 박사는 이번 튀르키예 지진 참사에 대해 ″유신론적 관점에서 하나님을 원망하기보다 이 땅에서 청지기 노릇에 최선을 다하고 책임감을 더 갖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튀르키예 지진과 종교의 관점
유신론적 관점에서 바라봐야
 
“신이 없다 해도 재해 막아지나”
하나님의 구속적 의지 발견해야
 
자연 제대로 관리 안 한 책임도

더 많은 생명 보호하는 계기로  

지난 6일 튀르키예(터키) 남부와 시리아 북서부를 강타한 지진으로 사망자는 4만명이 넘어섰다. ‘세기의 재앙’으로 불릴 만큼 최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무고한 생명이 건물 잔해 속에 묻히는 건 순식간이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절망은 커진다. 사망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럴 때 종교를 소유한 인간은 신(神)이 야속하다. 재해도 신의 섭리하에 발생하는가. 인간을 사랑한다는 신은 무고한 생명이 죽어가는 것을 왜 방관하는가. 그렇다면 절대자를 진정한 절대자라 할 수 있는가. 이번 튀르키예 지진 참사는 그 지점에서 여러 질문을 낳는다.
 
이성만으로는 신앙의 영역을 이해하기 어렵다. 신은 완전하고, 인간은 부족하다. 절대자는 모든 만물을 주관하지만 피조물은 한계가 있다. 종교의 전제다. 그 괴리를 메우는 게 신앙이다.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신학자’로 불리는 김세윤 박사에게 이러한 질문을 던져봤다. 그는 풀러 신학대학원에서 은퇴(2019년)하고 독일 튀빙겐대학교에서 연구 교수로 지내다가 최근 LA로 다시 돌아왔다. 김 박사와 튀르키예 지진 참사와 신의 섭리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단도직입으로 묻고 싶다. 기독교의 하나님은 참사와 같은 재앙도 허용하는가.
 
“이런 일이 발생할 때마다 많은 사람이 그러한 질문을 한다. 하나님이 세상을 만들었다는데 지진, 화산, 홍수 등 자연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이다. 심지어 ‘왜 사람을 그런 식으로 죽게 내버려 두느냐’라고 묻는다. 사실 그렇게 물으면 인간의 관점에서는 명확하게 답할 길이 없다.”
 
-왜 명확한 답을 구할 수 없나.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더욱더 하나님을 ‘탓(blame)’할 수밖에 없다. 하나님은 완전하지 않구나, 하나님이 인간을 충분히 사랑하지 않는구나, 하나님은 불안전한 환경과 세상을 만들어 그런 곳에 인간을 살게 하는구나, 그렇다면 신을 믿을 필요가 없네…하며 하나님을 탓하고 원망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렇다면 질문조차 할 수 없는 것인가.
 
“사실 창조주의 존재 자체를 믿지 않으면 아예 그런 질문조차 가질 수가 없다. 무의식 속에서라도 절대자의 존재를 인지하기 때문에 인간은 그런 질문을 할 수 있다. 그래서 그 부분에서부터 잘 생각해봐야 한다. 궁극적인 세계관에 대해서 말이다.”
 
-어떠한 세계관인가.
 
“창조주를 제쳐두고 인간의 관점에서만 생각해보자. 아니 하나님의 존재 자체가 아예 없다고 가정해보자. 이런 일이 발생했을 때 하나님이 없다고 한들 인간에게 자연재해를 막을 수 있는 지혜가 더 많이 생기겠는가. 혹은 더 큰 소망이 생기겠는가. 그렇지 않다. 무신론적 세계관을 갖고 있어도 이런 재해를 막을 수는 없다. 만약 인간이 온 우주의 중심이 된다고 가정해보자. 인간이 모든 걸 다 책임질 수 있는가. 하나님이 없다 한들 인간이 지금보다 더 잘할 수 있겠는가. 절대로 그렇지 않다.”
 
-그럼 인간은 어떠한 질문을 던져야 하나.

 
“세상을 왜 이렇게 만들었는가를 질문하기보다, 창조주를 믿는 관점에서 생각해봐야 한다. 도리어 온갖 도처에 위험 요소가 있는데도 우리를 살게 해주시는 것이 정말 감사 아닌가. 그렇다면 하나님이 인간에게 이 땅을 다스리는 책임을 주셨음을 깨닫고, 그분이 우리에게 준 지혜와 이성 등으로 자연을 더 관리하고 환경을 살펴야 한다.”
 
-그렇다면 인간은 왜 책임을 다하지 않는가.
 
“인간이 왜 정부, 국가를 구성해서 살겠는가. 정부는 국민을 위해 지혜를 모으고 자원을 이용해야 한다. 그래서 재난을 예방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과학자라면 하나님이 주신 지혜의 은사를 발휘해서 자연환경과 자연현상을 잘 살펴야 한다. 과학자라는 직업으로 생명을 증진하는 일에 힘써야 하는 책임도 있지 않나. 즉, 유신론의 관점에서 각자에게 주어진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의미다. 창조주의 선한 뜻을 믿기에 이 땅에서 청지기 노릇을 잘하고, 실패했을 때는 ‘이런 피해를 보는구나’ 하며 도리어 책임감을 더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완벽할 수 없는 게 인간 아닌가.
 
“맞다. 인간은 한계가 있다. 그래서 신학적으로 말하면 하나님에게는 인간을 향한 ‘구속적 의지’라는 게 있다. 하나님은 궁극적으로 인간을 사랑하고, 지키시고, 구원하신다. 우리는 이런 일 가운데에서도 그분의 구속적 의지를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의 입장에서는 이런 일이 발생했을 때 만족스러운 답을 구할 수는 없지만, 창조주의 관점에서 보면 이런 일에도 분명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구속적 의지는 있다.”
 
-구속적 의지를 발견한다는 건.
 
“예를 들자면 쓰나미가 발생하고 나서 인간은 무엇을 하는가. 방파제를 만들지 않나.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일어났을 때는 원전에 대한 안전대책을 강화했다. 대지진이 발생하면 내진설계 등 건축코드도 강화하지 않는가. 인간은 그렇게 더 책임감을 갖게 된다. 하늘의 뜻을 생각하면서 좀 더 지혜를 강구하고 모으게 된다. 재앙 속에서도 긍정적, 낙관적인 소망을 갖는 세계관을 갖게 된다. 그렇게 더 많은 이의 행복을 추구하고 생명을 보호할 기회가 되는 것이다. 하나님의 구속적 의지가 우리를 그렇게 이끌어가는 것이다.”
 
-종교를 가진 이들은 이번 사태를 어떻게 봐야 하냐.
 
“이번 튀르키예 지진으로 엄청난 수의 생명이 목숨을 잃었다. 개인적으로도 그들을 생각하면 너무나 아프고 안타까운 재해다. 그래서 이 세상을 살아가는 신앙인에게는 거짓과 불의를 막고, 정의를 추구하며, 갈등을 줄이고 화평을 이루려는 진실한 노력이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자연재해지만 우리에게는 기후변화 문제 등 자연을 소홀히 대하고 환경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은 책임이 없는지도 돌아보는 계기가 돼야 한다.”
 

☞김세윤 박사는

 서울대학교, 맨체스터대학교, 튀빙겐대학교를 졸업했다. 케임브리지의 틴데일 라이브러리에서 연구 활동을 했고, 맨체스터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칼빈신학교, 고든 콘웰 신학교, 풀러 신학교 등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한국에서는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총신대학교에서 교수와 대학원장을 역임했다. 김 교수는 특히 세계 신학계에서 ‘바울 신학’의 대가로 평가받는다. 그가 발표한 다수의 논문은 국제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며 신학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바울 복음의 구원’ ‘구원이란 무엇인가’ ‘칭의의 하나님 나라’ ‘바른 신앙을 위한 질문들’ ‘칭의와 성화’ ‘복음이란 무엇인가’ 등 다수의 저서를 펴내기도 했다.

장열 기자 jang.yeol@koreadaily.com
(이 기사는 <미주중앙일보>의 허락을 받아 게재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