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이어 공무원 사회까지 ‘내란’ 물갈이, 도 넘고 있다‘(11월 8일), ‘6시간 만에 계엄 해제인데 '내란 공무원' 몇이나 되겠나’(11월 13일), ‘‘동료 고발’ 요구한 정부 “공산국가냐” 목소리 듣길‘(11월 14일), ‘정권마다 군·공무원 편 가르기, 나라 미래 망쳐’(11월 15일).
'방가조선일보'가 줄기차게 사설을 통해 내란에 관여한 고위 공직자들에 대한 단죄를 막아서려 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려던 세력에 대한 청산이 당연하지만 방가조선일보가 막고 나섰다. 그 이유를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그들은 일찍이 언론 내란 수괴로 확고히 자리 잡은 반대한민국 세력이다. 내란 공범들에 대한 문책이 결국 자신들의 운명과 직결될 것이기 때문에 미리 손을 써보려는 술책이다.
제목만 살펴봐도 내용은 넉넉히 짐작할 만하다. 내란 물갈이가 도를 넘고 있다고 한다. 윤석열 반란 세력의 계엄령 음모조차 괴담으로 덮어주던 자들의 헛소리이니 신경 쓸 일은 아니지만 어떤 경우에도 내란 세력에 대한 물갈이는 도를 넘을 수가 없다. 공직에 부여된 책임성과 동기 부여를 위해 신상필벌은 필수적이다. 방가조선일보는 계엄이 6시간 만에 해제되어 내란 가담 공무원이 몇 안 될 것이라 주장한다.
하지만 이것은 지극히 위험한 발상이다. 첫째 '몇 안 되는' 인원의 기준이 모호하여 대체 몇 명이 되어야 처벌할 수 있다는 것인지 알 수 없고, 둘째는 몇 안 되는 머릿수이면 내란 가담자를 처벌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 윤석열의 내란을 정쟁의 결과로만 떠벌린 방가조선일보의 관점은 스스로 내란 동조자임을 인정하는 것인가? 공직사회가 흔들릴 것을 걱정할 게 아니라 잘못이 있다면 인정하고 책임을 지는 것이 공직사회의 책임성과 기강을 바로 세우는 일이 대한민국을 위하는 길이다.
마침내 방가조선일보 스스로 이성을 잃고 자폭하고 마는 듯한 느낌이다. 방가조선일보가 색깔론을 쓰지 않으면 그들의 정체성을 벗어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공직 사회에 숨어 있는 내란 관련자에 대한 조사를 ‘동료 고발’이라며 ‘공산 국가’라는 선동적인 말까지 동원하고 있다. 아스팔트 극우 세력의 용어를 그대로 가져다 쓰는 듯하다. 방가조선일보의 사설이 품격을 잃은 것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내란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자를 제보하는 것을 공산국가식 밀고 문화와 연결해 빨갱이 프레임을 씌우려는 수작이다. 공익 제보는 공직 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튼튼한 버팀목이다. 윤석열 일당의 자해적인 내란 시도도 채 해병 사건 등 공직 사회 구성원의 잇따른 공익 제보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방가조선일보 스스로 부끄러웠는지 “공산국가냐”라는 따옴표로 책임을 피해 가는 모습을 보며 언론으로서의 생명은 다했음이 분명하다.
편가르기에는 원조격인 방가조선일보가 '군,공무원 편 가르기, 나라 미래 망쳐' 라고 주장하는 것은 차라리 한 편의 코미디다. '그때는 맞았고, 지금은 틀리다' 라는 주장은 사기꾼이나 협잡꾼이 즐겨 쓴다. 좀더 정확히 표현하면, 방가조선일보는 '그때도 틀렸고, 지금도 틀리다'. 1933년에 조선일보를 인수하여 방가조선일보로 망가뜨리기 시작한 방응모는 친일·반민족행위자다. 이들이 독재자 이승만의 반민특위에 대한 불법적인 해체로 요행히 살아남은 것은 부끄러운 역사다. 이승만이 친일반민족 행위자들을 공직에 복귀시키며 펼쳤던 뻔뻔한 주장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다행히도 지금은 대한민국을 통째로 무너뜨리려던 내란에 가담한 공직자들을 대체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들이 차고 넘친다.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음으로써 '그때는' 못했던 것을 '지금은' 할 수 있다. 더 이상 명분 없는 화합이란 물타기로 역사를 그르칠 수는 없다.
방가조선일보의 전두환 살인마 정권에서의 전력을 살펴보면 내란 세력에 대한 단절을 막고 나서는 이유가 더욱 분명해진다. 그들은 전두환 살인마 정권에 부역한 공으로 지금까지도 이른바 성공한 내란의 과실을 톡톡히 챙겼던 기억을 잊지 못하고 있다. 전두환 살인마 정권에서 내란 세력에 가담하여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을 하던 자가 방가조선일보 사장이었다. 전두환 일당의 국보위는 내란 세력의 통치 기구였으며, 민주주의를 파괴한 군사폭력정권의 기반이었다.
언론이라면 이를 비판하고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해야 했지만, 조선일보는 오히려 그 체제에 아부하며 정권의 정당성을 위해 갖은 짓을 했다. 당시에도 내란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던 공직자나 언론에 대한 처벌은 없었다. 오히려 전두환 살인마는 적반하장격으로 이른바 사회정화를 구실로 공직자는 물론 일반 시민들을 무차별로 탄압했다. 방가조선일보는 ‘사회악 일소는 국민적 과제’ ‘공직사회 기강 확립이 시급하다’ 등의 선동적 기사로 전두환 살인 정권의 나팔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윤석열 내란 세력이 계엄령을 가장해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부정하려는 음모가 한창 진행 중인데도 계엄령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괴담으로 몰아붙이며 내란 세력에 동조했던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내란 준비에 대한 분명한 정보를 갖고도 괴담이라고 가짜 뉴스를 뻔뻔하게 써대는 것 정도는 방가조선일보에게 손바닥 뒤집기보다 쉬운 일이었을 것이다. 그런 자들이 대한민국을 위하는 척하며 내란 세력 감싸기에 나선 것이다. 불행히도 윤석열 일당의 내란 시도는 용감한 대한국민들의 저항으로 일단 수포가 되었다. 하지만 지금도 이른바 ‘잔당’이라고 부를 만한 세력들이 내란을 부정하며 대한민국을 흔들어대고 있는 현실이다.
방가조선일보의 허무맹랑한 선동에도 눈여겨 볼 대목은 있다. 우선 내란 물갈이는 완벽하면 완벽할수록 대한민국을 위하는 길이라는 점이다. 또한 아무리 소수에 그친다 하더라도 적극적인 내란 세력은 반드시 처벌을 해야 다시는 대한민국을 뒤흔드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대한민국이 공산국가가 된 적은 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목숨을 걸고 내란을 막고 나서 민주주의를 지켜낸 세계적으로 자랑스러운 대한국민이 있기 때문이다. 내란 세력에 빌붙어 나라를 망치려고 작정한 듯한 일부 판사들과 언론에 대한 준엄한 국민적 심판으로 나라의 미래는 밝게 빛날 것이다.
내란 세력에게는 단호하게 대처해야 다시는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부정하고 국민의 생명과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내란과 전쟁은 꿈조차 꾸지 못하게 해야 한다. 내란 세력에 대한 완전 청산이야말로 대한국민이 목숨을 걸고 지킨 대한민국을 위하는 유일한 길이다. 내란 공직자에 대한 신상필벌은 대한민국이 무너지기를 꿈꾸며 내란과 이적 행위를 저지르고도 뻔뻔하게 고개를 쳐드는 내란 세력 청산에 대한 새로운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당연히 언론 내란 수괴 방가조선일보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처벌도 필요하다.
그리하여 다시 방가조선일보는 폐간만이 답이다.
